
2010년대 이후 영국의 출산율 급락 원인을 분석하며, 이를 통해 한국의 저출산 문제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 있습니다. 핵심 원인으로는 양육 관련 정부 지원 축소, 특히 재정 긴축 기조 하에 가족 친화적 정책 후퇴 및 금전적 지원 감소가 지적됩니다. 또한, 청년층의 고용 불안정 심화와 실질 임금 부진을 포함한 고용(소득) 불확실성 증대와, 소득 대비 주택가격 비율 및 주거비 비중 상승으로 인한 주거 안정성 저하가 주요 요인으로 제시됩니다. 마지막으로, 조사 보고서는 이러한 영국의 사례를 바탕으로 한국에 정책의 일관성 확보, 양육 및 고용/소득 안정성 제고, 그리고 주택 시장 안정화 노력을 통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