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혜윤 작가의 "사생활의 천재들"을 따라 고독에 대해 나눠 봅시다. 혼자만 아는 순간을 쌓아간다는 것, 생각보다 외로운 일은 아닐지도요?!
원진 사담을 텍스트로 즐기길 원하시는 분들을 위해 스크립트를 제공합니다. https://bit.ly/4982rry
야구를 사랑하는 심리학자 김수안의 "레전드는 슬럼프로 만들어진다"를 따라 야구와 인생의 공통점을 찾아 봅시다. 그건 바로, ‘처맞는 것을 두려워 하지 말라'는 교훈일지도요?!
이번 에피소드부터 월요일에 업로드 됩니다.
원진 사담을 텍스트로 즐기길 원하시는 분들을 위해 스크립트를 제공합니다. https://bit.ly/4982rry
어니스트 헤밍웨이의 고전 "노인과 바다"를 따라 내가 기다리는 큰 물고기는 무엇인지 생각해 봅시다. 정원진은 그러다 그만, 퇴사를 해버렸다지요?!
원진 사담을 텍스트로 즐기길 원하시는 분들을 위해 스크립트를 제공합니다. https://bit.ly/4982rry
독서교실에서 어린이들과 책을 읽는 김소영 작가의 "어린이라는 세계"를 따라 어린이였던 시절을 생각해 봅시다. 다양한 어린이의 모습을 보며 ‘나다움’이란 단어의 함정을 깨닫게 될지도요?!
원진 사담을 텍스트로 즐기길 원하시는 분들을 위해 스크립트를 제공합니다. https://bit.ly/4982rry
소설가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파피용"을 따라 망한 지구를 떠날지 말지에 대해 나눠 봅시다. 도대체 이 지구에 희망은 남아 있는 걸까요?! 존 버거는 희망은 바로, 여기 있다고 답합니다.
원진 사담을 텍스트로 즐기길 원하시는 분들을 위해 스크립트를 제공합니다. https://bit.ly/4982rry
시인 박연준의 "밤, 비, 뱀"을 따라 시를 읽어 봅시다. 우리는 오그라든다는 딱지를 너무 쉽게 붙이며 제한된 단어 속에서 살아가고 있지 않나요?!
원진 사담을 텍스트로 즐기길 원하시는 분들을 위해 스크립트를 제공합니다. https://bit.ly/4982rry
프랑스 작가 조르주 페렉의 "파리의 한 장소를 소진시키려는 시도”를 따라 매일 같은 일상 속 변화를 관찰해 봅시다. 날씨와 기분의 관계를 이해하게 될지도요?!
원진 사담을 텍스트로 즐기길 원하시는 분들을 위해 스크립트를 제공합니다. https://bit.ly/4982rry
축구도 하고 글도 쓰는 작가 김혼비의 "우아하고 호쾌한 여자 축구"를 따라 마음을 쏟는 일에 대해서 나눠 봅시다. 무언가를 뜨겁게 사랑하는 일 앞에 세대 구분은 의미가 없을지도요?!
원진 사담을 텍스트로 즐기길 원하시는 분들을 위해 스크립트를 제공합니다. https://bit.ly/4982rry
체육학자 칼 하인리히 베테의 "사회의 스포츠”를 따라 스포츠에 열광하는 이유에 대해 나눠 봅시다. 우리는 몸으로 사는 존재라는, 잊고 있던 사실을 깨닫게 될지도요?!
이번 에피소드에 언급된 에세이를 읽어 보세요. https://bit.ly/42NA53t
원진 사담을 텍스트로 즐기길 원하시는 분들을 위해 스크립트를 제공합니다. https://bit.ly/4982rry
*메일 gardenjinho@gmail.com
예술가 제니 오델의 "아무것도 하지 않는 법"을 따라 도파민 가득한 세상에서 벗어나는 방법에 대해 나눠 봅시다. 뜻밖에도 번아웃을 극복하는 계기가 될지도요?!
원진 사담을 텍스트로 즐기길 원하시는 분들을 위해 스크립트를 제공합니다. https://bit.ly/4982rry
*메일 gardenjinho@gmail.com
정혜윤 작가의 "삶을 바꾸는 책 읽기"를 따라 삶을 더 디테일하게 사랑하는 방법에 대해 나눠 봅시다. 자기계발의 굴레에 갇혀 숙제처럼 느껴졌던 독서가 다른 의미로 다가올지도요?!
원진 사담을 텍스트로 즐기길 원하시는 분들을 위해 스크립트를 제공합니다. https://bit.ly/4982rry
*메일 gardenjinho@gmail.com